라벨이 선거일인 게시물 표시

프리다 칼로 – 앵무새와 과일이 있는 정물, 생의 색으로 치유하다

이미지
  "회복은 거창한 변화가 아니라, 잘 익은 과일 하나 앞에서 멈춰서는 것에서 시작된다." 🖼️ 작품명 : 앵무새와 과일이 있는 정물 (Still Life with Parrot and Fruit) 👩‍🎨 작가 : 프리다 칼로 (Frida Kahlo, 1907~1954) 📍 제작연도 : 1951년 🎨 기법 : 유화(Oil on Masonite) 2024년 4월에 파나마를 방문했을 때 남미 출신 주인이 갤러리처럼 꾸며 놓은 집 구경갔었는데, 그 아파트에 걸려있던 다양한 예술 작품 중에 프리다 칼로의 그림도 걸려 있었습니다. 그때도 아주 인상적이었는데, 투표소로 정해진 초등학교 벽에 걸린 프리다 칼로의 그림을 보니 반가워서 포스팅 합니다. 정물 속의 정지된 생명, 그러나 살아 숨 쉬는 색 이 작품은 프리다 칼로가 병상에 누워 지냈던 후반기에 완성한 정물화입니다. 정물이라 불리지만, 이 그림은 죽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터질 듯한 생명력을 품고 있습니다. 큼직한 수박 조각의 붉은 육질, 반으로 갈라진 오렌지의 단면, 열대 과일들 사이에 앉은 녹색 앵무새의 날카로운 눈빛. 프리다 칼로는 과일을 그리며 ‘지금 여기 살아 있음’을 선언 합니다. 그녀에게 이 그림은 단순한 정물화가 아니라, 몸이 아파도 삶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증언 입니다. 감각의 회복이 곧 웰빙이다 이 그림을 보고 있으면 마치 과일의 향기가 코끝에 스며들 것 같습니다. 프리다 칼로는 시각을 넘어서 후각과 촉각까지 자극하는 그림 을 완성해냅니다. 붉은색과 노란색의 대조 는 감정 에너지를 끌어올리고 곡선의 과일 배치 는 안락한 안정감을 줍니다 앵무새는 정지된 장면 속에서도 시선을 깨우는 감정의 파수꾼 처럼 존재합니다 지쳐 있는 일상 속에서 이 정물화를 만나는 건, 잘 깎은 과일 한 조각을 조용히 입에 넣는 순간과도 같습니다. 오늘의 제안: 🥭 오늘의 간식은 ‘색’으로 선택해보세요. 🍊 빨강은 활력...

앙리 마티스 – 폴리네시아 하늘, 바다보다 더 푸른 숨결

이미지
오늘 21대 대선후보 선거일에 투표소에서 만난 앙리 마티스의 그림에 대해 예술이 건강, 웰빙과 연결되어  있음을 느끼며 이 글을 포스팅 합니다.   "그림 앞에서 눈을 감는다면, 아마 이런 하늘과 바다가 떠오르지 않을까요?" 🌊 작품명 : 폴리네시아 하늘 (Polynesia, The Sky) 🎨 작가 : 앙리 마티스 (Henri Matisse, 1869~1954) 📅 제작년도 : 1946 🖌️ 기법 : 종이에 채색된 구아슈 컷아웃 (cut-out) 작품의 숨결: 색과 형태로 그린 하늘과 바다의 자유 앙리 마티스의 '폴리네시아 하늘'은 '폴리네시아 바다'와 같은 색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아플 때 만든 이 작품 앞에 서면 푸른 물결, 하늘, 그리고 바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푸른색의 바탕은 수많은 색조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위로 종이로 잘라 붙인 흰 새와 해초 모양이 떠다닙니다. 이 구성은 실제 폴리네시아 여행 중 경험한 시각적 인상을 추상화한 것입니다. 새는 날고, 해초는 출렁이며, 그림 전체가 조용한 움직임의 언어 로 말하고 있습니다. 군더더기 없는 단순함은 오히려 깊은 몰입을 가능하게 합니다. 마티스의 예술이 전하는 웰빙의 감각 위  작품은 마티스가 1941년 십이지장암  수술 이후에 만든 작품입니다. 몸은 힘들었지만, 마음은 더 멀리 자유롭게 퍼져나갔죠. 이 그림은 그런 자유의 상징입니다. 시각적인 안정감 : 반복된 곡선, 잔잔한 푸른 톤 감정의 환기 : 흰 새의 움직임은 희망의 감정과 연결 내면 회복 : 마티스 특유의 따뜻한 색 배합은 스트레스를 낮춰줍니다 한참을 바라보다 보면, 이 그림이 ‘감정의 공기 청정기’처럼 작동한다는 걸 알게 됩니다. 여러분도 느껴 보세요. 오늘의 질문: 💭 "나에게 자유를 주는 색은 어떤 색인가요?" 💡 그림을 하루의 시작 화면으로 바꿔보세요. 시선을 따라 숨을 쉬면, 생각도 정돈될 ...